...요컨대 그는 스스로가 비극에 대한 견해를 통해 제시한 진정한 비극성, 즉 문제에 고통받고 있는 채 세상에 의해서 이해받지 못하는 상태(28)를 어쩌면 자의에 의해서 지속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교착적인 반(反)영웅성을 어째서 붙잡고 있는 것인가라는 점에 있다.
해답의 일부는 그에게 요구되는 여러 상반되는 요구가 상호 양립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으려는 점에 있을 것이다. Okwonko 와의 거의 유일한 공통점으로서 그의 강한 자존심, 즉 명예를 요구하려는 정신의 높음을 들 수 있는데, 그의 경우 그의 자존심의 중요한 원천은 그가 정식의 유럽식 고등교육을 받았다는 사실, 토착 엘리트로서 식민 당국의 중견공무원으로 재직한다는 점에 놓여있다. 일부러 흑인 거주 구역을 벗어나 가내 고용인을 두고 있는 교외 고급 주택 지역 Ikoyi에서 거주하기를 선택하여다는 사실, 신분의 상징으로서의 자동차에 집착한다는 사실, 가족 부양과 학비 상환, 생활 수준 유지라는 재정적 부담을 굳이 한꺼번에 이행하려고 한다는 사실, 그리고 이를 해결할 수 있었던 두 번의 기회 모두 '이름을 더럽힌다‘는 이유로 거부했던 사실로서 그의 이러한 자의식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사회에서 이 만큼 높은 이름값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높은 물질적 부를 축적함으로써 지출을 감당해 낼 수 있어야 할 터인데, 그는 그러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도 또 그러한 능력에 도달할 수 있는 행동력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문제를 직접적으로 분출시키는 것은 물론 행동을 미루는 그의 성격적 결함에 기인한다. 그러나 그가 수행하지 못하는 행동들의 목록은 어떤 조건들로부터 유래한다. 이러한 조건 - 예컨대 ‘존경받고 싶다면 자동차를 소유하라‘ '격조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Ikoyi 에 집을 마련하라’ 와 같은-들은 다시, 작품에서 다루어지
고 있는 특정 시기 (혹은 그 이상)의 나이지리아에 존재하는 토착 엘리트라는 계급으로부터 유래된다. 좀 더 분석적으로 접근하면, 이러한 조건들의 전건(前件, protasis)-예컨대 '존경받고 싶다면’은 이 계급에게만 허용되는 물질적/비물질적 희소 재화를 설정하고, 후건(後件, apodosis)은 그러기 위해서 이들이 만족하여야 하는 행동이나 상태의 목록을 구성한다. 말하자면 독립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여전히 내면적 근대화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이 특정 사회에서 엘리트로서의 지위를 유지한다는 것, 그리고 그로부터 명예와 자존심을 요구한다는 것은 분명 사회적인 차원에서 존재한다고 단언할 수 있다. 그것의 실행은 개인의 행동 - 그리고 그 행동을 상당 부분 결정짓는 개인의 성격적 구조-에 맡겨져 있다고 보는 것이 온당하겠지만, 이러한 행동들은 역시 사회적 차원의 조건들에 의해서 수행 가능한 것으로 위치 지워지고 있는 것이다.
Obi의 행동이 거개 명예에 대한 요구, 이른바 인정투쟁
1)
으로부터 비롯된다면, 그리고 그러한 認定의 가능성이 그가 취득할 수 있는 교육정도와 능력주의에 입각한 신분으로부터 유래한다면, 그러한 한에서 그의 자의식은, 따라서, 토착 엘리트 계급의 자의식의 한계 내에서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예컨대 하디 Hardy,T.의 작품군에서 관찰되는, 자기 교육에 대한 열망을 품고 있지만 신분적 한계에 가로막혀 좌절하는 주인공들보다 좀 더 현실성 있게 다가온다면 바로 이것 때문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나이지리아의 식민지적 근대에서 특이한 (그러나 이 시기 이곳에만 국한되어 출현한다고 볼 수만은 없는) 이런 종류의 사람들은 어디서 유래되었으며 스스로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살피지 않을 수 없다.
토착 엘리트, 계급적 자의식
Obi를 비롯하여 Christopher, Hon. sam Okoli 와 같은 토착 엘리트 집단은 본래 그 스스로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권리에 기반하여 존재하는 자존적인 집단은 아니다. Things fall apart에서 작가는 전통사회에서의 특권 집단이 사실상 쇠락하고 반대로 이 사회에서 변두리에 위치했던 집단이 식민 주체와 협력하여 구조적 상승을 경험하게 되는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Khayyoom 1999, 125-127) 이보족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에서 드러나듯이 이보족은 역사적으로 식민화에 따른 정치적 지배관계의 설정사(史)에서 니제르강 유역의 다른 종족보다 이런 형태의 현지화된 협력자를 배출하는데 성공적이었다. (Simola 1995 86-87) 그것은 역사상 이 종족이 상대적으로 1) 부락연맹적 체제를 유지함으로써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위가 희박했다는 점 2) 니제르 강 남부의 인구압력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는 점, 3) 따라서 종족 내부의 부족간 경쟁은 식민 이전 역사에서도 일상적이었다는 점 4) 정치권력의 승계가 남계혈족주의 salic premogeniture or salic consanguity 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상당 부분 업적주의 meritocracy 에 입각한 집단지도 체제에 입각해 있었다는 점 5) 그래서 부족내 개인의 업적 추구가 일상화된 종족이었다는 점 (즉 일종의 ‘개인주의’가 식민시기 이전 성립한 상태였다는 것)에 힘입고 있다. 어떤 면에서 이보족은 영국 지배 하에서 '가장 많이 변화하였지만 가장 적게 변했던‘ 종족이었던 것이다 (ibid., 89)
이들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성립시킨 것은 UPU 와 같은 동향(同鄕)기반의 상호부조집단이다. 실제로 예로부터 부족간 경쟁이 흔했던 이보족 사회는 전쟁을 통한 패권 추구의 가능성이 식민통치하에서 절연되자 체제내 경쟁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ibid., 91)
2)
이러한 체제내 경쟁의 재료가 된 것은 20세기 초부터 조금씩 개방되기 시작하였던 관료직과 일부 고위 성직이었는데, 이렇다 할 민족자본이 부재하는 상태에서 (혹은 ‘민족’ 자체가 부재하는 상태에서) 이보족과 요루바 Yoruba 족을 비롯한 나이지리아내 주요 종족들은 이러한 행정직에 진출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하였다. 그 구체적인 형태가 작품 속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은 UPU인 것이다.
'the importance of having one of our sones in the vanguard of this march of progress is nothing or axiomatic. Our people have a saying 'Ours is ours, but mine is mine." Every town and village struggles at this momentous epoch in our political evoutionto possess that of which it can say: "This is mine." We are happy that today we have such an invaluable posession in the person of our illustrious son and quest of honour.' (28)
Obi의 귀국을 환영하는 위의 언사에서도 드러나듯이 이렇듯 부족에서 선발된 '총애받는 아들 favorite son' 이 자리매김되는 방식은 부족의 소유물 possession 이라는 생각이다. 이들의 위치는 그들 개인의 재능이 발휘된 결과인 측면도 있지만 일차적으로 식민지 상황내에서 토착적 욕망의 집단적 표현의 결정체로서 위치 지워지고 있다. 기원상 출신 부족에 의존하고 있는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크게 보아 두 가지인데, 먼저 이들을 교육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상환함으로써 후속 세대를 양성할 재정적 책임을 지는 것과 (28) 'European post'를 획득함으로써 부족을 정치적 사회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개인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 (84)이다. 전통적인 분권적 구조 덕분에 이들에 대한 인신적(人身的) 통제는 물론 불가능하지만 여하간 이들은 본래 토착부족의 이익에 복무하기 위한 전단 vanguard로 선발된 것은 부인할 수가 없다. 요컨대 압축적 근대화의 도구인 것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Christopher 와 같이 자기 욕망에 충실한 세속적 엘리트가 아니고서라도, Obi와 같이 본래 대의에 충실했던 인물조차도 부족이익과 독립된 자신만의 독자적 이익관계를 인식한다:
Obi admitted that his people had a sizeable point. What they did not know was that, having laboured in sweat and tears to enroll their kinsmen among the shining elite, they had to keep him there. Having made him a member of an exclusive club whose members greet one another with 'How's the car behaving?' did they expect him to turn around and answer: 'I'm sorry, but my car is off the road. You see I couldn't pay my insurance premium.'? That would be letting the side down in a way that was quite unthinkable. Almost as unthinkable was as a masked spirit in the old Ibo society answering another's esoteric salutation: "I'm sorry, my friend, but I don't understand your strange language. I'm but a human being wearing a mask.' No, these things could not be. (p.90)
식민지 사회의 중간층으로 편입된 토착 엘리트들은 불가역적인 신분 상승을 경험한다. 여기에는 교외의 백인 주거 지역 Ikoyi에서 주택을 분양받는 일이며, 자동차의 소유, 혹은 심지어 자유 연애까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단 권리로서 인정받은 다음에 이러한 이익들은 그들의 형제로부터 자신들을 구별짓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그리고 Obi가 위에서 독백하듯이 한 번 신분 상승을 경험한 자는 그 자리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필요하다면 다시 하강하여 형제들과 섞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신분상승을 통한 구별 짓기 자체가 이들의 계급적 자의식을 결정하는 핵심적 근거이기 때문이다. Things fall apart 에서 언급되었던 부락 장로연합체, 가면 쓴 신(神)들의 회합 ‘Egwugwu'가 언급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가면신들의 회합을 다시 생각해 본다. 이것은 베버 (Weber, M.)적 관점에서 전형적이 합리적 정치화의 도구이다. 즉 희소한 자원을 권위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해당 사회 내에서는 완전한 체제였다. 게다가 이때 전거가 된 권위는 그 충실한 의미에서 합리화된 권위, 즉 업적주의 meritocracy 에 의해서 뒷받침된 권위였다. 식민 이전의 Umuofia 에서는 정형화된 기준에 의해서 평가되는 개인의 업적을 보상해 주기 위해서 위계서열화된 작위(爵位, title) 체계가 존재했고 일정 작위 이상의 남성들만 이 장로연합체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자. (Things Fall Apart 80) 한 편 이곳의 결정은 결코 뒤집어질 수 없고 의심될 수 없는 불가역적인 권능으로서 주민들의 생활에 개입했다는 점도 기억할 수 있다. 핵심은 어떠한 신민(臣民)도 이렇듯 거의 성(聖) 과 속(俗)을 나눌 정도의 심대한 신분 격차를 만들어내던 이 조직에의 가입자가, 회합에서 말해지듯 육체를 가진 신격(神格)이 아니라, 정말은 인간임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다만 이들은 가면을 씀으로서 신내림을 받을 수 있게 되고, 그럼으로서 자신들이 필부(匹夫)의 계급과 다름을 주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위에서 언급되었듯 Obi가 ‘사실은 보험이 안 되어 차를 몰지 못 한다’고 고백하는 일이란 가면을 쓴 유력자가 가면을 벗고 자신은 사실은 인간임을 주장하는 것과 같은 차원의 일이다. 즉 그들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은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다. 물론 가면을 쓴 자도 쓰지 않은 자도 그가 사실은 인간임은 알고 있다. 그러나 그가 인간임이 드러나면, 가면 쓴 신들의 회합에 권위적 정당화 작업을 유보하고 있는 그 사회는 근본이 뽑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식민지 대중의 욕망의 현현(顯現)으로서의 토착 엘리트가 자신도 사실은 식민지 소시민일 뿐이라는 것을 고백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와 다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생활을 이어갈 동력을 얻는 식민지 사회를 동요하게 할 뿐인 가치파괴적인 행위이다. 게다가 그것은 구별짓기를 통해 스스로를 정의하던 계급적 이익에 역행할 뿐이다. 그렇다면 Obi가, 그를 그 자리에까지 오르게 해준 토착민들과는 독립적인 계급 이해를 가지는 자족적인 계급으로서 스스로를 인식하지 않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1) 認定鬪爭, Erkennungskampf. (Struggle for Recognition) 헤겔 Hegel,G.F. 은 「정신현상학 Phenomeologie des Geites 」의 「정신 Geist 」장 「주인과 노예 Herr und Sklave」절에서 이 개념을 처음 도입한다. 객관적 정신으로 종합된 주관적 정신은 대자적 對自的 외화 外化 로 상승하기 위해 다른 객관적 정신에게 욕망되는 것을 욕망한다. 단,, 다른 객관적 정신을 욕망하는 것을 욕망하지 않는다. 우선되는 욕망-됨을 요구하는 객관적 정신들은 한 쪽이 다른 쪽을 욕망하되 욕망되지 않는 다음 단계의 종합을 위해 모순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타자의 욕망되기 위해 자신에 대한 욕망을 지양한 정신이 즉자적이 욕망에 머물러 있는 정신에 대해 욕망-됨을 우월하게 주장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이 「주인」이 된다. 이 테마는 그의 역사철학에서 반복되면서, 지배를 강요하기 위해 궁극적인 자기애, 즉 생명에 대한 욕망을 극복한 전사계급의, 자기애 단계에 머물르고 있던 농노계급에 대한 승리를 개념화하는데 동원된다. 즉 지배계급은 생명을 ‘이름’보다 중히 여기는 피지배계급에게 자신에 대한 ‘인정’을 강요할 수 있었다. 시민사회가 도래하면서 비로소 서로 상대방을 동등하게 욕망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타자에 의한 욕망됨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상호인정의 종합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이 개념은 맑스 Marx, K.의 「정치경제학비판 요강 Grundrisse der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에서부터 ‘계급투쟁’ 개념의 예비적 개념으로 원용된 바 있다.
2) 이 점이 예컨대 이미 민족국가가 형성되어 있던 지역단위에 식민통치가 적용된 것과 비교해 그 결과나 식민지 내/외의 사후적 평가가 결정적으로 갈리는 지점으로 보인다. Anderson 1983은 20세기의 많은 신생국가들이 식민시기 이전 역사적으로 전혀 정치적 문화적 '민족‘을 형성한 적이 없는 반면, 이러한 국가들에서 독립 이후에 민족주의가 비로소 민족을 ’창조하는‘ 동력으로 부름받고 있음을 지적한다.
----
cf. 각주: 조작.